위대한 탄생, 지루하기만 했던 70분
2010. 11. 6. 07:00
아바래기의 세상보기
MBC 김재철 사장이 “우리는 왜 <슈퍼스타K> 같은 프로그램을 못 만드냐”라며 노골적으로 <슈퍼스타K>를 모방한 프로그램을 내놓을 것을 미리 암시했음에도 <위대한 탄생>에는 ‘슈스케2’와는 또 다른 재미가 있을거라고 기대한 시청자가 바보가 되는 순간이었다.
<위대한 탄생>은 약장수마냥 시청자를 현혹시키기에 급급했다. <위대한 탄생>은 방송 시작부터 ‘MBC 오디션의 역사’를 말한다며 그간 MBC에서 방송한 ‘오디션 프로그램’을 일일이 열거했는데, 김재철 사장의 발언을 통해 ‘슈스케2’를 염두해두고 만든 프로그램이라는게 다 알려진 마당에 ‘오디션 프로그램’의 정통성을 운운하는 것은 시청자를 우롱하는 처사가 아니었나 싶다. 그렇게 정통성을 운운하며 ‘슈스케2’와 별개의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말하고 싶었다면 적어도 ‘슈스케2’의 1등 상금이었던 2억에서 1억을 더한 3억이라는 상금을 가지고 방송 사상 최고의 상금이라고 강조하며 지극히 ‘슈스케2’를 염두한 발언을 하지는 말았어야 했다.
방송 시작전부터 ‘슈스케2’의 짝퉁이라는 꼬리표를 단 <위대한 탄생>은 시청자들에게 자신들의 오디션 프로그램이 케이블 방송사의 그것보다 더욱 정통성이 있고, 더 큰 스케일을 가지고 있다고 떠벌려대며 무언가를 보여주기 보다는 그저 말로 시청자를 현혹시키려는 얄팍한 수를 쓴 것이다.
자기 꾀에 자기가 넘어간다는 말이 있다. 첫 화부터 얄팍한 수를 보인 <위대한 탄생>은 그들의 히든카드였던 ‘심사위원’이라는 패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시청자들의 철저한 외면을 받을 판이다. <슈퍼스타K>의 짝퉁이 될 게 뻔하다고 하면서도 사람들이 <위대한 탄생>에 관심과 기대를 갖은 건 ‘심사위원’의 영향이 크다. ‘슈스케2’의 심사위원인 이승철과 묘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김태원이 심사를 맞게 된다는 소문이 돌면서부터 사람들의 관심이 몰렸고 이은미,신승훈 등 대한민국의 내로라하는 아티스트들이 심사위원을 맡을거라는 기사에 그 기대는 최대로 증폭되었다.
그러나 막상 70분이라는 시간동안 비춰진 심사위원들의 모습은 감흥을 불러일으키기는 커녕 굳이 심사위원들과 70분이라는 시간을 함께했어야만 했는가,라는 의문을 남겼다. <슈퍼스타K 2>의 진정한 우승자는 윤종신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그는 ‘슈스케2’의 최대 수혜자였다. 고개를 절로 끄덕이게 만든 그의 심사평을 보고 있으면 감탄할 수 밖에 없었고 그저 한 마리의 ‘곱등이’였던 ‘강승윤’을 본능적인 스타로 만든 그의 프로듀싱 능력에는 박수를 칠 수 밖에 없었다.
시청자들은 윤종신 같은 심사위원을, 아니 그 이상으로 훌륭한 심사위원을 기대하고 있었다. 하지만 오늘 방송에서 비춰준 심사위원들은 심사위원이 아닌 한 명의 스타로 다가왔을 뿐이다. 그도 그럴 것이 <위대한 탄생>의 히든카드였던 심사위원을 소개하는데 너무 힘이 들어가서 오디션 프로그램의 본질을 잃고 한 편의 토크쇼 같은 분위기가 계속 이어져버렸다. 특히 대한민국 대표가수 100명과 함께 하는 멘토 인기투표는 첫 화부터 이 프로그램이 본질을 놓치고 있다는 것을 극단적으로 보여준 부분이었다.
제 2의 허각을, 장재인을, 존박을 기다리고 있었을 시청자에게 오늘 <위대한 탄생>이 보여준 패들은 하나같이 좋지 못한 패였다. 아직 2차 예선도 치르지 못했을만큼 급조된 프로그램이면서 <슈퍼스타K 2>를 누르겠다는 오만이 느껴지는 첫 회였으므로.
정말 미치도록 지루한 70분이었다. <위대한 탄생>의 심사위원이 참가자들을 직접 멘토링한다는 포맷이 프로그램에 득이 될지 실이 될지 아직은 알 수 없다. 다만 중요한 것은 ‘오디션 프로그램’만큼은 스타보다 스타가 되려는 사람들에게 초점이 가야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오늘처럼 <위대한 탄생>이 기존의 프로그램을 적당히 따라하기에 급급해 본질을 잊는다면 시청자들의 싸늘한 외면을 받을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개인적으로 <W>의 열혈 시청자였던 나는 <위대한 탄생>이 <W>의 폐지를 순순히 받아드릴 수 있을만큼 진정으로 모두를 흥분시키는 방송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아바래기의 세상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림하이, 기대 이상의 산뜻한 출발! (12) | 2011.01.04 |
---|---|
수험생에게 박탈감 안겨준 선미의 수능 특혜논란 (34) | 2010.11.19 |
위대한 탄생, 지루하기만 했던 70분 (18) | 2010.11.06 |
최윤희 자살, 행복을 노래하던 그녀의 충격적인 죽음 (14) | 2010.10.08 |
지연을 궁지로 몬 도 넘은 진실공방 (16) | 2010.10.07 |
조공논란 최화정, 조공이 뭐길래… (12) | 2010.07.08 |
Tags
안타깝네요. 즐거운 주말되세요.
슈퍼스타k가 너무 커서일까요^^
심시위원과의 70분이라니 ;;
그프로그램이 사라졌군요^^
어떤 흐름으로 전개되었는지 알게 되었네요.
행복한 주말 되세요...^^
따라하기는 좀 그래요...
김혜수씨의 W재미있게 봤었는데...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슈스케 발꿈치도 따라가기 힘들듯합니다.
말 그대로 심사위원(스타?)은 보조일 뿐
진정 주인공은 참가자들일텐데요..
심사위원들이 제일 중요한데
인기투표를 한다는 등..
실망하신 분들이 많아요...
(초반만 보다가 말아서 잘 모르지만) 심사위원들의 토크 위주로 했다면 확실히 뭔가 방향에서 문제가 있지 않은가 싶네요.
스스로 초치는 모습이 기가 막힙니다.....ㅎㅎㅎ
이번에 블로그 새로 하나 만들었어요.
소통목적으루다가...
오셔서 사인 하나 아셨죠?
http://blogtory.tistory.com
잘 보고갑니다..
휴일도 좋은 시간이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