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진학 때문에 사기꾼이 된 아이들
2010. 11. 12. 06:30
소소한 일상 이야기
제가 알기론 지난주에 원서접수가 끝났다고 해서 어제 시간을 내어 조카녀석에게 맛있는 저녁을 사주려고 조카아이를 따로 불러냈습니다. 언제나 밝고 명랑한 아이었는데 시험을 코 앞에 둬서 그런지 낯빛이 어둡고 말수도 적어졌더라고요. 저는 준비는 잘 되가고 있냐고 넌지시 물어봤습니다.
“이모,나 아무래도 삼수해야하나봐요.”
시무룩한 아이의 충격고백에 저는 깜짝 놀라지 않을 수가 없었습니다. 아직 시험도 보지 않았는데 삼수를 준비하겠다는 말이 제법 충격이었기 때문입니다. 저는 벌써부터 그런 생각을 왜 하냐고 물으면서 너무 긴장할 필요없다고 했지요. 그랬더니 그 순간 조카녀석은 자신의 억울함을 속사포처럼 털어놓았습니다.
“제가 A과를 준비하고 있었는데 입시정보카페에서 보니까 지원자가 예상보다 몇 배나 많은거예요. 접수를 끝낸 사람들이 남긴 글을 보니 이틀만에 130명이 넘게 지원했다는거죠. 뽑는 인원은 고작 다섯명인데 말이예요!”
그 학교가 조금 독특하여 학생을 조금 뽑는 걸로 알고있긴 했지만 고작 다섯명 밖에 뽑지 않는다는 사실에 저는 놀랄 수 밖에 없었습니다. 조카의 말을 들어보니 경쟁률도 정말 치열한 것 같은데 말이죠. 저는 조카녀석이 치열한 경쟁률에 벌써부터 사기가 꺽였다고 생각하고 그래도 붙을 수 있을거라고 도닥여주었습니다. 근데, 조카녀석의 하소연은 아직 끝난게 아니었던 거예요.
“차라리 A과를 지원했으면 후회라도 없죠. A과와 커리큘럼이 비슷한 B과를 대신 지원해버렸단 말이예요.”
“아무리 경쟁이 치열했어도 가고 싶은 과를 선택했어야지! 대체 왜 그랬어?”
“입시정보카페에서 A과가 경쟁률이 너무 치열해서 차라리 B과를 가는게 낫다는 글을 봤거든요. 처음엔 그래도 A과에 가야지 했는데 삼수를 할 수는 없으니까 일단 B과를 선택한 것이죠.”
저는 조카녀석의 선택이 너무나도 아쉬웠습니다. 물론 삼수라는게 쉬운 결정은 아니지만 구더기 무서워서 장 못 담그는 것도 아니고 이게 참. 차라리 최선을 다해서 자신이 진정으로 가고자했던 과에 도전했다면 떨어져도 후회가 덜 할텐데 말이죠. 저는 이미 선택했으니까 어쩔 수 없다고, 그나마 열심히 하라고 했지만 조카녀석의 한숨은 계속 됐습니다.
“이모, 물론 제가 남의 말에 휩쓸려서 과를 바꾼건 제 잘못이지만 이건 너무 억울해요. 저는 악질적이고 완전 사기꾼같은 놈들한테 당한거란 말이예요. 말은 않아도 저처럼 당한 입시생들이 한 둘이 아닐걸요? 같은 입시생이면서 어떻게 그런 일을 할 수 있는지 자다가도 치가 떨려요.”
분노한 조카아이가 들려준 사건의 전말은 이렇습니다. 5일동안 원서접수를 받았는데 그 사이에 벌어진 입시생간의 눈치작전이 도를 넘은 것이지요. 조카녀석의 과 선택에 큰 영향을 준 A과의 경쟁률이 사실은 거짓정보였다는 겁니다. 원서접수 이틀날에 벌써 130명을 넘었다는 지원자 수는 원서접수가 마감된 후 약 70명밖에 안된다고 밝혀졌습니다. 처음부터 경쟁자를 하나라도 떨구기 위한 작전이었던 것이죠.
그 문제의 입시생들은 입시정보카페에 거짓정보를 고의적으로 뿌리고 일명 여론조작을 펼쳐서 A과를 지망하는 학생들을 B과로 분산시킨 겁니다. 원서접수가 끝나고 경쟁률이 뜰 즈음 되니 그동안 쓴 거짓정보글과 여론몰이글을 다 지우고 날랐다고 합니다. 이건 정말 계회적이었다고 밖에 말할 수 없습니다. 덕분에 A과를 지망하려던 학생들이 B과로 몰리게 되었고, B과는 A과보다 경쟁률이 더 치열해지게 되었다고 하네요.
조카녀석이 말하는 사건의 전말을 들으니 저 역시 기가 막히더라고요. 물론 누가 무슨 말을 하던 자신의 목표를 조카녀석이 지켜야하는게 맞지만 대학진학의 압박에 시달리는 입시생에게는 혹할만한 정보였습니다. 열아홉, 기껏해야 스무살 밖에 되지 않았을 그 입시생들이 자신들이 대학에 진학하고자하여, 같은 처지에 있는 입시생들을 현혹하여 그들의 선택을 뒤흔들어놓는다는 게 말이나 되는 일일까요? 그들에게 당한 입시생들은 과를 바꿔 선택한 것에 대한 후회도 있지만 무엇보다 경쟁자의 수작에 놀아났다는 그 자체만으로 큰 상실감에 빠졌다고 합니다.
벌써부터 남의 등을 쳐먹는 사기꾼의 싹이 보이는 그들이 대학에 간다고해서 과연 큰 배움을 얻을지 의문이 듭니다. 한편으로는 대학진학이 뭐길래, 그 어린 나이에 이런 큰 거짓말을 하며 남을 속여야했는지 안타깝기도 해요.
물론 대학이 인생에서 참으로 중요한 목표일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세상을 살다보면 대학보다 중요한 게 훨씬 많은데 그걸 모르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아 조금은 씁쓸합니다.
'소소한 일상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색하던 고양이에게 푹 빠져버린 남편 (18) | 2010.11.17 |
---|---|
5만원권 닮은 다운로드 상품권을 조심하세요! (20) | 2010.11.16 |
대학진학 때문에 사기꾼이 된 아이들 (14) | 2010.11.12 |
100만원 넘은 딸의 휴대폰 요금에 가슴이 철렁 (23) | 2010.11.08 |
수난의 역사를 품은 의릉에 가다 (9) | 2010.11.06 |
눈 한번 마주쳤다는 이유로 뺨 맞은 우리 딸 (18) | 2010.11.05 |
Tags
에횽;; ㅎㅎ
모두 수능 대박나면 좋겠어요
좋은 결과있기를 기도합니다.
잘 보고가요.
눈치를 보면서 선택하기보다는 본인적성이나
자신이 노력하거나 최선을 다하고 싶은 욕심이 생기는지등
이 좋을 것 같습니다.
나중에 취업할때 후회하는게 바로 이 순간의 선택때문이라죠.
저도 고3 아들이 있는데 남일 같지 않네요....ㅜㅜ...*^*
대입시는 역시 눈치작전이군요 .... !!
앞으로가 걱정이군요~
하긴 이들을 탓할 게 아니군요.
대학부터가 명확하게 보여주지 않은채 입시전형료만 챙겨먹으려는 속셈이니...
교육을 하는 대학부터가 제 정신을 차려야 할 듯 합니다.
즐건 하루 되세요..아바래기님~~!
사기치는 법부터 배우다니..
편법이나 얍삽한 걸 먼저 배우는 사람들은....
나중엔 더 심한 일도 아무렇지 않게 하겠죠..
갑갑하네요..
그래 놓고 대학 들어가면 적성 안 맞고 그러죠..
사실 대학 들어가서 부터가 정말 중요한데 ㅜ
공정하게 자신의 꿈을 향한 아이들이 선의의 경쟁을 해야하는데.....
치열한 경쟁속에서 허덕이는 아이들의 상황이 너무나 안타깝네요...ㅠㅠ